책 소개
• 《공대생도 잘 모르는 재미있는 공학이야기》는 국민대학교 기계공학부에서 30여 년간 ‘공대생’들을 가르쳐온 ‘공대 교수님’이 공대생과 청소년, 공학에 대해 잘 모르는 일반인들에게 공학을 재미있게 소개하기 위해 쓴 책이다.
• 작가는 우리 주위 모든 것이 공학임에도 불구하고 공학이 무엇인지 잘 모르고 관심도 없는 보통 사람들에게 공학의 매력을 알려주고 싶었다. 또한 공학에 대해 제대로 이해하면 진로를 고민하는 청소년들에게도 훌륭한 안내 역할을 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해왔다.
• 한화택 교수는 이러한 바람을 담아 《공대생도 잘 모르는 재미있는 공학 이야기》에 담았으며, 이 책에 실린 50여 편은 모두 일상에서 접할 수 있는 현상으로부터 이야기를 가져와 공학을 소개하고 있다.
• 이 책을 통해 공학이란 무엇인지, 공학자의 역할은 무엇인지, 공학자의 생각이 어떻게 '세상'으로 구체화되는지 부담 없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어렵고 딱딱한 이론이나 수식이 아니라 우리 주변에서 흔히 만날 수 있는 상황이나 현상을 통해 공학을 이야기하기 때문에 공학의 기본과 본분, 공학자의 역할과 자세에 대해서 많은 사람들에게 공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작가 소개
한화택
• 작가는 국민대학교 기계공학부에서 30여 년간 공대생들을 가르쳐온 교수로서 서울대학교 기계공학과를 졸업한 후 동대학원에서 공학석사, 미국 미네소타대학교에서 공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 국민대학교 공학대학 학장과 대한설비공학회 회장을 지냈으며, 현재 미국 냉동공조학회인 ASHRAE의 펠로우, 한국공기청정협회 편집위원장, 범부처 합동사업 추진위원장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 마르퀴스 후즈 후Marquis Who’s Who, 국제인명센터International Biographical Center, 미국인명정보기관American Biographical Institute 등 3대 세계인명사전에 모두 등재되어 있으며, 미국 기술사 PE 자격증과 대한상사중재원의 중재인으로 등록되어 있다.
• 공학이란 있는 것을 탐구하는 것을 넘어 없는 것을 창조하고, 정답 찾기를 넘어 수많은 해결책을 만들어가고, 그러기까지 사람과 사회에 끊임없이 관심을 기울이며, 계속해서 삶에 응용해가는 융합학문이다. 하지만 많은 공대생들이 주위를 유연하게 둘러보지 못하고 전공서적에만 파묻혀 있다. 이 모습이 늘 안타까웠던 저자는 학생들이 딱딱하고 어려운 공학을 조금이라도 재미있고 쉽고 유연하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이론+응용+재미’의 3박자를 갖춰 강의해왔다.
• 강의실에서의 내공과 평소의 바람을 담아 『공대생도 잘 모르는 재미있는 공학 이야기』를 출간한 한화택 교수는 이 책의 뒤를 이어 『공대생이 아니어도 쓸데있는 공학 이야기』를 출간했다. 또한 미래 사회를 준비하기 위한 공학 전도사로서 청소년을 위한 『10대에게 권하는 공학』를 출간하고, 어린이를 위한 『너도 엔지니어가 되고 싶니』를 번역했다.
• 그밖에 지은 책으로 『미적분의 쓸모』, 『실내환경학개론』, 『기계계측』, 『창의융합 공학콘서트』, 『공기청정 편람』, 『Fluid Dynamics, Computational Modeling and Applications』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는 『공기조화 및 냉동』, 『유체역학』, 『열전달』 등이 있다.
목차
1부 살피고 재고 맛보고
1 검사체적 | 관심 범위는 어디까지?
2 라그랑주 | 물체의 움직임을 좇아서
3 상대운동 | 절대적인 것, 상대적인 것
4 시간좌표 | 한 번 가면 올 수 없는 것
5 시간과 공간 | 사이와 사이
6 한국 단위계 | 근·자·짬
7 표준 정하기 | 잰다는 것
8 차원해석 | 수식이 알려주는 것
9 무차원화 | 차원을 없애면…
10 무차원변수 | 무차원 인생의 길이
11 공학적 단위감각 | 코끼리 무게 재기
12 불확정성 원리 | 몰래카메라
13 도플러효과 | 교통경찰 따돌리기
14 푸리에급수 | 모든 신호를 처리하는 마법사
15 파동 | 생명의 바이브레이션
16 디지털 샘플링 | 세상을 보는 속도
2부 수와 식으로 그린 자연
1 오일러수 e | 안다는 것
2 허수 i | 세상의 모든 수
3 테일러급수 | 대충계산법
4 여러 가지 평균 | 모두 모두 공평하게
5 해석함수 토막 | 작은 곡선 속 세상
6 그래디언트 | 깜깜한 밤에 산꼭대기 찾아가기
7 포텐셜과 플럭스 | 산행 애니메이션
8 다이버전스와 컬 | 내보내고 회전하고
9 등식 | 같음과 다름
10 0과 1 | 음양사상
11 상관관계 | 바람과 나무통은 어떤 관계?
12 확률게임 | 로또 당첨
13 게임 최적화 | 축구경기를 더 재미있게
3부 자연의 법칙이 생활 속으로
1 열전달 | 칠면조 맛있게 요리하기
2 온도성층화 | 따뜻한 겨울 보내기
3 온열반응 | 찜질방 즐기기
4 복사냉각 | 사막에서 얼음 얼리기
5 공기조화 | 난방·냉방·환기
6 풍혈냉천 | 천연 냉장고
7 열물성 | LPG 차량 이해하기
8 에너지보존 | 폭포수 목욕탕
9 기계의 효율 | 다이어트의 진리
10 엔트로피 증가 | 생명을 유지하는 길
11 전기요금과 가스요금 | 에너지 노예 해방
12 연료전지 | 로봇의 하루 일과
13 유체흐름 | 교통체증
14 유체항력 1 | 곰보 골프공의 비밀
15 유체항력 2 | 안전한 빗방울
4부 공학자의 생각
1 사고실험 | 상상력 폭발
2 컴퓨터 사용기 1 | 청계천밸리의 파인애플-II
3 컴퓨터 사용기 2 | 매킨토시와 윈도우란 신세계
4 머피의 법칙 | 나만 재수가 없어…
5 풀 프루프 설계 | 바보를 피하는 법
6 컨설팅 | 우리의 몸값
7 역해석 문제 | 거꾸로 보기
8 리버스 엔지니어링 | 짝퉁과 벤치마킹 사이
9 발상의 전환 | 불량 테이프
10 기술문명 | 사회를 바꾸는 잘된 엔지니어링

생각상자
• 작가는 기초과학이 자연현상에 대한 지적 호기심에서 출발해 사물의 본질을 탐구하는 것이라면, 공학은 실제 필요에 의해 존재하지 않는 무언가를 새로이 만들어내는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 현재 사회적으로도 공학을 필요로 하고 있고 수많은 학생들이 공과대학에 입학하려고 하고 있지만, 정작 공학과 과학의 차이를 정확히 모르고 공학하면 과학이랑 비슷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을 것이다. 《공대생도 잘 모르는 재미있는 공학이야기》를 읽는다면 공학과 과학의 차이점을 알게 되는 것은 물론 공학이 우리의 미래에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지 확실히 이해하게 될 것이다.
'도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대와 통하는 심리학 이야기-심리학 관련 추천 도서 (0) | 2021.12.30 |
---|---|
10대에게 권하는 공학-공학 관련 추천 도서 (0) | 2021.12.28 |
소크라테스의 변명-인문철학 관련 추천 도서 (0) | 2021.12.23 |
사람은 왜 그림을 그리고 노래를 부르고 시를 쓸까-인문철학 관련 추천 도서 (0) | 2021.12.15 |
설득의 심리학1-심리학 관련 추천 도서 (0) | 2021.12.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