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유형자산2

회계-자산의 분류(비유동자산)-왕초보 회계상식 비유동자산이란 무엇인가 • 현금과 그 밖의 재산 중에서 1년 또는 정상적인 영업주기 이내에 현금화되거나 또는 그 효익이 소멸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는 자산을 유동자산이라고 하며, 만약에 1년 이후에 현금화가 가능하다면 비유동자산이 된다. • 따라서 비유동자산은 건물, 토지, 기계장치 등과 같이 경영활동의 기초가 되며 장기간에 걸쳐 사용할 목적의 자산을 의미한다. • 비유동자산은 형태의 유무에 따라 토지, 건물, 구축물, 기계장치, 비품, 차량운반구 등과 같이 외형적으로 형태가 있는 유형자산과 영업권, 개발비, 산업재산권, 어업권, 라이선스, 임차권리금, 저작권 등 형태는 없으나 법률상의 권리나 가치가 있는 무형자산, 그리고 장기금융상품, 만기보유금융자산, 매도가능금융자산, 관계기업투자, 투자부동산, 장기.. 2021. 11. 16.
재무제표-재무비율분석(활동성분석)-왕초보회계상식 활동성분석 • 활동성분석이란 기업이 소유하고 있는 자본이나 자산들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있는가를 평가하는 것이다. • 기업은 경영활동을 하는 데 있어 기업이 소유하고 있는 모든 자본이 충분히 활용되어야 수익성이 개선된다. 그리고 이 렇게 발생된 수익은 다시 기업에 필요한 자금으로 돌아오는 자본의 회전과정을 거치며, 이 회전속도가 빠를수록 자본의 효율성이 높아진다. • 따라서 기업의 활동성분석은 기업이 매출을 올리기 위해 자산이 몇 회나 활용되었는지 각각의 자산 회전율을 측정하여 평가한다. • 활동분석을 위한 세부지표에는 총자산회전율, 재고자산회전율, 매출채권회전율, 유형자산회전율 등이 있다. 총자산회전율(total assets turnover) • 총자산회전율은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자산 활용의 .. 2021. 11. 7.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