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계-자산의 분류(비유동자산)-왕초보 회계상식
비유동자산이란 무엇인가
• 현금과 그 밖의 재산 중에서 1년 또는 정상적인 영업주기 이내에 현금화되거나 또는 그 효익이 소멸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는 자산을 유동자산이라고 하며, 만약에 1년 이후에 현금화가 가능하다면 비유동자산이 된다.
• 따라서 비유동자산은 건물, 토지, 기계장치 등과 같이 경영활동의 기초가 되며 장기간에 걸쳐 사용할 목적의 자산을 의미한다.
• 비유동자산은 형태의 유무에 따라 토지, 건물, 구축물, 기계장치, 비품, 차량운반구 등과 같이 외형적으로 형태가 있는 유형자산과 영업권, 개발비, 산업재산권, 어업권, 라이선스, 임차권리금, 저작권 등 형태는 없으나 법률상의 권리나 가치가 있는 무형자산, 그리고 장기금융상품, 만기보유금융자산, 매도가능금융자산, 관계기업투자, 투자부동산, 장기대여금, 보증금 등 장기적인 투자 목적으로 취득한 투자자산으로 분류된다.
비유동자산의 분류
비유동자산을 계정항목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투자자산
: 투자자산이란 회사가 돈을 많이 벌어 자금사정이 좋아져서 그 여유자금을 장기간 운용하는 것을 말한다.
: 따라서 투자자산이란 기업의 정상적 영업활동에 사용되지 않으면서 1년 또는 정상적인 영업주기 이내에 현금화시킬 계획이 없는 장기투자의 성격을 가진다.
• 장기금융상품
- 유동자산에 속하지 않는 금융상품으로 만기가 1년 이후에 돌아오는 금융상품을 말한다.
- 장기정기예금, 장기정기적금, 장기양도성예금증서 등이 있으며, 만기 때 원금과 확정된 이자를 받는다는 특징이 있다.
• 만기보유금융자산
- 만기가 고정되어 있고 지급금액이 확정되어 있는 채무증권을 기업이 만기까지 보유할 적극적인 의도와 능력이 있는 경우의 채무증권을 의미한다.
• 매도가능금융자산
-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이나 만기보유금융자산으로 분류되지 않는 금융자산을 의미한다.
- 유가증권은 주식과 채권으로 나누어지고, 보유목적에 따라 만기보유금융자산,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그리고 매도가능금융자산 중의 하나로 분류한다.
-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주로 단기간 내의 매매차익을 목적으로 취득한 것으로서 시장성이 있는 것을 말한다.
- 만기보유금융자산: 만기가 확정된 채무증권으로 만기까지 보유할 의사가 있는 것을 말한다.
• 관계기업투자
- 타 기업의 경영의사결정에 중대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을 정도로 그 기업에 거액을 투자한 경우의 투자자산을 의미한다.(M&A, 인수합병 등)
• 투자부동산
- 회사에서 취득한 부동산은 영업활동에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투자 목적의 비업무용 부동산으로 가격이 상승하면 처분할 목적으로 보유하는 것이다.
• 장기대여금
- 회사의 여유자금을 거래처나 금융기관 등에 빌려주는 것으로 1년 이상 빌려주는 것을 장기대여금이라고 한다.
- 이때 1년 이내에서 일시적으로 빌려주는 것은 단기대여금이라고 하며, 유동자산에 포함한다.
• 보증금
- 계약에 대한 일종의 예치금으로 계약 종료 후 돌려받는 금액을 말한다.
- 대표적으로 전세보증금이 있으며, 입찰계약에 응찰할 때 맡기는 입찰보증금, 건설회사에서 건설이 끝난 후에 발생할 지도 모르는 하자를 위해 맡겨 놓는 하자보증금 등이 있다.
유형자산
: 회사가 영업활동에 사용할 목적으로 보유하는 영업용자산이며, 1년 이상의 장기에 걸쳐 보유하게 되는 장기자산으로 물리적인 형체를 가지고 있다.
: 이러한 유형자산은 상당 기간 동안 회사가 이를 사용하고 또 사용을 통해 수익을 얻게 된다. 그러므로 유형자산의 취득에 들어간 금액은 취득 당시에 한꺼번에 비용으로 떨어버리지 않고 수익을 제공받을 수 있는 일정한 기간 동안에 걸쳐 매년도마다 조금씩 비용으로 배분하게 되는데 회계에서는 이러한 비용배분 절차를 감가상각이라고 하고 매년도마다 배분된 금액을 감가상각비라고 한다.
• 토지
- 영업활동에 장기적으로 사용할 목적으로 취득하여 보유하는 땅을 말하며, 대지, 임야, 전답, 잡종지 등을 포함한다.
- 토지의 경우 사용으로 인한 가치 감소가 없고 오히려 가치가 증가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감가상각비를 계상할 수 없다.
• 건물
- 회사가 영업활동을 위해 1년 이상 장기적으로 사용할 목적으로 취득한 공장의 생산시설이 들어 있는 공장건물, 차고, 경비실, 사무실 등을 포함하며, 건물에 부속되어 있는 냉난방설비나 조명설비, 통풍장치 등도 포함한다.
• 구축물
- 교량, 안벽, 부교, 저수지, 갱도, 굴뚝, 정원설비 및 기타의 토목설비 또는 공작물 등
• 기계장치
- 공장에서 제품을 만들어내기 위해 사용되는 기계의 제반장치 및 부속설비를 말한다.
- 공작기계, 설비, 공구, 기구 등
• 차량운반구
- 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각종 운송설비로 자동차, 트럭, 자전거, 철도차량 등을 말하며, 육상에서 자체 구동력에 의해 움직이는 모든 차량이 해당된다.
• 건설중인 자산
- 회사가 건물을 건설할 경우(또는 물건을 제작할 경우) 완공되기 전에 회계기간이 돌아왔을 때는 건설 과정에 들어간 모든 항목들을 건설중인 자산으로 포함한다.
• 비품
- 영업활동을 위해 사용할 목적으로 구입한 것을 말한다.
• 선박
무형자산
: 물리적인 형체는 없지만 자산의 요건을 모두 갖추었기에 자산으로 대접하는 것으로, 식별가능하고 기업이 통제하고 있으며 미래 경제적 효익이 있는 자산을 말한다.
• 산업재산권
- 일정기간 독점적·배타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권리로서 특허권, 실용신안권, 디자인권, 상표권 등이 있다.
• 영업권
- 합병·영업양수 및 전세권취득 등의 대가로 지급한 금액이 합병 등으로 취득한 자산과 부채의 공정가치를 초과하는 부분으로 한다.
• 개발비
- 생산 전 개발단계에서 시제품 및 모형을 설계, 제작, 시험하는 활동에 지출한 비용을 말한다.
• 탐사평가자산
- 일정한 광구에서 등록을 한 광물과 부존하는 다른 광물을 채굴하여 취득할 수 있는 권리 등을 말한다.
• 어업권, 라이선스, 프랜차이즈, 저작권, 임차권리금

도움이 되셨다면 광고 한번 살짝~ 눌러주세요.
회계-자산, 부채, 자본이란 무엇인가-왕초보 회계상식
자산이란 무엇인가 • 자산이란 과거의 거래나 사건의 결과로 발생하여 미래에 현금유입을 창출할 것으로 기대되는 자원을 말한다. 즉, 기업이 보유 중인 동산, 부동산, 권리 등 재산적 가치가
book-stories.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