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무제표-재무비율분석(활동성분석)-왕초보회계상식
활동성분석
• 활동성분석이란 기업이 소유하고 있는 자본이나 자산들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있는가를 평가하는 것이다.
• 기업은 경영활동을 하는 데 있어 기업이 소유하고 있는 모든 자본이 충분히 활용되어야 수익성이 개선된다. 그리고 이 렇게 발생된 수익은 다시 기업에 필요한 자금으로 돌아오는 자본의 회전과정을 거치며, 이 회전속도가 빠를수록 자본의 효율성이 높아진다.
• 따라서 기업의 활동성분석은 기업이 매출을 올리기 위해 자산이 몇 회나 활용되었는지 각각의 자산 회전율을 측정하여 평가한다.
• 활동분석을 위한 세부지표에는 총자산회전율, 재고자산회전율, 매출채권회전율, 유형자산회전율 등이 있다.
총자산회전율(total assets turnover)
• 총자산회전율은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자산 활용의 효율성을 나타내는 비율로서 일정기간 동안에 기업의 총자산이 매출액으로 몇 번 회전하였는가를 의미한다.
• 기업의 총자산회전율은 일반적으로 1.5회 이상을 양호한 것으로 본다. 즉, 총자산금액의 1.5배에 해당하는 매출액을 달성했을 때 기업의 자산이 효율적으로 사용되었다고 보는 것이다.
• 총자산회전율은 매출액을 평균총자산으로 나누어 계산하며, 계산식은 다음과 같다.
재고자산회전율(inventory turnover)
• 재고자산회전율은 재고자산 투자의 효율성을 나타내는 비율로서 일정기간 동안에 재고자산이 얼마나 빨리 판매되어 당좌자산으로 변화하는가를 나타내는 것이다.
• 재고자산회전율이 높다는 것은 기업의 재고자산이 기업에 머무르는 기간이 짧고 빨리 팔려나간다는 것을 의미하며, 재고자산의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고 있다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 재고자산회전율은 당기순이익을 자기자본으로 나누어 계산하며, 계산식은 다음과 같다.
매출채권회전율(receivables turnover)
• 매출채권회전율은 일정기간 동안에 매출채권이 몇 번 현금으로 전화되었는가 하는 매출채권의 유동성을 측정하는 비율로서 매출액 대비 매출채권의 회전속도를 나타낸다.
• 매출채권회전율이 높으면 매출채권의 현금화 속도가 빠르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것은 곧 기업의 유동성이 양호하다고 평가할 수 있다.
• 매출채권회전율은 당기순이익을 매출액으로 나누어 계산하며, 계산식은 다음과 같다.
유형자산회전율(tangible assets turnover)
• 유형자산회전율은 일정기간 동안에 유형자산이 매출을 통하여 몇 번 회전하였는가 하는 유형자산의 효율성을 측정하는 비율이다.
• 유형자산회전율이 높으면 유형자산에 대한 투자액이 매출을 통하여 회수하는 기간이 짧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것은 유형자산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 유형자산회전율은 매출액을 평균유형자산으로 나누어 계산하며, 계산식은 다음과 같다.
재무비율분석을 위한 세부지표
• 재무비율분석을 위해 유동성비율, 안전성비율, 수익성비율, 활동성비율, 성장성비율로 분류할 수 있으며, 세부적인 지표는 다음과 같다.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28.gif)
도움이 되셨다면 광고 한번 살짝~ 눌러주세요.